영양불균형은 영양부족으로 인해 대사요구량보다 영양섭취가 적은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 저작기능 저하와 관련된 경우 노인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노인은 나이가 듦에 따라 치아 상태가 나빠지거나, 뇌 관련 질환, 근위축성 경화증, 구강질환, 약물의 영향을 받아 저작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특히 치아의 상실은 저작기능의 문제를 야기하는 가장 흔한 요인으로, 식사 중 큰 덩어리를 삼켜 섭취하거나 음식을 선택적으로 섭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식사 방식은 음식 섭취에서 불균형을 야기할 수 있으며, 큰 덩어리로 삼켜 섭취할 경우 위장이 장애를 받거나 영양의 생체 이용율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An, C. Y., 2003).
노인에게서 한 번 영양 불균형이 일어나게 되면 이후에 영양보충이나 교정을 하여도 이전 상태로 돌아가는 능력이 저하되어 있어 영구적인 기능 손상을 입거나 다른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송현주, 2015). 영양불균형은 노인의 신체적 문제뿐만 아니라 정신적 기능 저하와 함께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영양불균형의 간호진단
대상자는 75세 노인 여성으로 치매를 진단받고 요양시설에서 거주하고 있습니다. MMSE 점수가 9점으로 초기중증의 인지장애가 있습니다. 식사는 부분적인 도움을 받아 가능하며, 밥식에서 죽식으로 변경하여 식사하고 있습니다. 반찬도 다져서 제공되며 부드러운 것만 씹을 수 있습니다. 대상자는 체중이 45kg, 키가 162cm로 BMI가 17.15로 저체중 상태입니다.
간호진단으로는 “저작기능 저하와 관련된 영양불균형”을 세울 수 있습니다. 이는 대상자의 음식을 섭취함에 있어 저작 기능이 필수적인데, 노인의 경우 치아 상태가 나빠지거나 뇌 관련 질환, 근위축성 경화증, 구강질환, 약물의 영향을 받아 저작 기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간호계획과 조치
간호계획과 수행에 따라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 식사량을 사정하고 정확한 식사량 감소를 파악합니다.
- 식욕부진의 이유를 파악하여 간호계획을 세울 때 참고합니다.
- I/O를 사정하여 부족한 input을 확인합니다.
- 처방된 혈액검사를 실시하여 영양부족의 원인을 확인합니다.
- 체중을 매일 측정하여 영양부족으로 인한 체중 감소를 파악합니다.
- 소량씩 자주 먹을 수 있도록 식사를 조절하고 환자가 좋아하는 음식으로 제공합니다.
- 영양부족이 심한 경우에는 정맥영양을 실시하여 영양을 보충합니다.
따라서, 영양불균형에 대한 간호진단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간호계획을 세우고 수행한다면 대상자는 영양부족을 극복하고 정상적인 영양 상태를 회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자주 찾는 질문 Q&A
Q1. 영양불균형은 어떻게 발생하나요?
영양불균형은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듦에 따라 치아 상태가 나빠지거나, 뇌 관련 질환, 근위축성 경화증, 구강질환, 약물의 영향을 받아 저작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특히 치아의 상실은 저작기능의 문제를 야기하는 가장 흔한 요인으로, 큰 덩어리를 삼켜 섭취하거나 음식을 선택적으로 섭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Q2. 영양불균형이 어떤 문제를 야기할 수 있나요?
영양불균형은 노인의 신체적 문제뿐만 아니라 정신적 기능 저하와 함께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노인에게서 한 번 영양 불균형이 일어나면 이후에 영양보충이나 교정을 하여도 이전 상태로 돌아가는 능력이 저하되어 있어 영구적인 기능 손상을 입거나 다른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Q3. 영양불균형의 간호진단은 무엇인가요?
노인의 경우 치아 상태가 나빠지거나 뇌 관련 질환, 근위축성 경화증, 구강질환, 약물의 영향을 받아 저작 기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저작기능 저하와 관련된 영양불균형”을 간호진단으로 세울 수 있습니다.
Q4. 영양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을까요?
영양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식사량을 사정하고 정확한 식사량 감소를 파악하여 식사를 조절하고 부족한 input을 확인합니다. 식욕부진의 이유를 파악하여 간호계획을 세울 때 참고하며, 체중을 매일 측정하여 영양부족으로 인한 체중 감소를 파악합니다. 환자가 좋아하는 음식으로 제공하고 소량씩 자주 먹을 수 있도록 식사를 조절합니다. 영양부족이 심한 경우에는 정맥영양을 실시하여 영양을 보충합니다.